📌 몸이 좋아지는 식이요법 시리즈
① 식이요법이란? 단순한 식단 조절을 넘어서는 개념
② 피로와 면역력에 좋은 식단 조합 5가지
③ 식욕 조절을 도와주는 음식과 식사 순서
④ 폭식 예방을 위한 하루 식사 루틴 만들기
⑤ 단백질, 탄수화물, 지방 – 균형이 중요한 이유
⑥ 한방에서 말하는 식이 금기 – 언제, 왜 피해야 할까?
⑦ 시간제한 식사, 공복 시간의 효과와 한계
“음식은 잘 먹는 것보다, 골고루 먹는 것이 중요합니다.”
다이어트를 시작하면 제일 먼저 하는 질문이 있습니다.
“탄수화물을 줄여야 하나요?”,
“단백질을 더 먹으면 살이 빠지나요?”
“지방은 나쁜 건가요?”
하지만 한 가지를 줄이고 하나만 많이 먹는 식단은 몸의 균형을 무너뜨릴 수 있습니다.
우리 몸은 세 가지 주요 에너지원인 탄수화물, 단백질, 지방을 적절한 비율로 섭취할 때 가장 건강하게 작동합니다.
⚖️ 1. 탄단지란 무엇인가?
영양소 | 역할 | 예시식품 |
탄수화물 | 에너지 공급원 (빠름) | 밥, 고구마, 귀리, 과일 |
단백질 | 근육·조직 재생 / 호르몬 생성 | 달걀, 생선, 두부, 닭가슴살 |
지방 | 장기 보호 / 지용성 비타민 흡수 / 에너지 저장 | 견과류, 아보카도, 참기름, 들기름 |
각 영양소는 서로 보완 관계입니다.
하나를 줄이면 다른 쪽에 무리가 가기 쉽습니다.
📊 2. 탄단지 균형이 깨지면 생기는 문제
불균형 | 결과 |
탄수화물 과다 | 급격한 혈당 상승, 인슐린 과잉 → 피로/체중 증가 |
단백질 부족 | 근육량 감소, 기초대사량 저하, 회복력 저하 |
지방 결핍 | 호르몬 불균형, 피부건조, 집중력 저하 |
🥗 3. 일반적인 탄단지 비율은?
목적 | 비율 예시 (탄수:단백질:지방) |
일반 건강 유지 | 50 : 25 : 25 |
다이어트 / 체지방 감소 | 40 : 30 : 30 |
근육 증가 / 운동 병행 | 35 : 40 : 25 |
💡 한의학적으로도 지나치게 기름기나 찬 음식, 단것에 치우치면 비위 기능이 약해져, 소화 장애, 지방 축적, 수면 문제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.
🍱 4. 한 끼 식사 예시 (균형 식단)
메뉴 구성 | 설명 |
현미밥 (1/2공기) | 복합 탄수화물 |
두부 or 달걀 | 고단백 + 부담 적음 |
쌈채소 + 나물 | 식이섬유 + 소화력 도움 |
참기름 or 들기름 소량 | 건강한 지방 보충 |
된장국 | 장 건강 + 따뜻한 국물 |
🌿 한의학적 균형 식이 원칙
- 과식하지 않고, 비우는 타이밍을 만드는 것도 중요
- 하루 2~3끼 중 1끼는 가볍게, 속을 쉬게 해주면 비위 기능 향상
- ‘따뜻한 음식 + 제철 식재료’ 우선
- 기름기, 당류, 냉성 음식은 체질 따라 조절 필요
✅ 마무리 메시지
- 단백질만, 탄수화물만, 지방만…
- 어느 하나만 강조하면 결국 균형이 무너집니다.
- 잘 먹는다는 건 ‘골고루 먹되, 나에게 맞게 먹는 것’입니다.
댓글 남기기